Post

FPI & FPIS

*취미생활방 서포터즈 활동으로 작성된 게시글입니다.

                                            

🔎 개요

•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 스테이블코인 • 전체적인 구조는 기존의 FRAX & FXS와 비슷함 • 그러나 $1를 항상 유지하는 FRAX와 달리 FRI는 인플레이션율(CPI)에 따라 매달 가치가 상승

🔎 FPI (Frax Price Index)

• $1에서 시작.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매달 CPI 증가율만큼 가격 상승 • 즉, 1FPI는 2021년 12월의 $1를 현재의 달러 가치로 나타낸 것 • FPI 준비금으로 매달 CPI 지수에 따른 가격 조정 • 모든 유통량이 담보로 보장됨. 하지만 부분 담보 스테이블코인 FRAX도 담보 자산에 포함되므로 완전히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음

🔎 FPIS (Frax Price Index Share)

• FPI의 가치를 반영하는 거버넌스 토큰 • FPI의 가격 안정을 위해 사용됨 • FXS가 FRAX와 FPI의 가치 둘 다 반영한다면, FPIS는 FPI의 가치만 반영함

🔎 FPIS Tokenomics

• 총 100,000,000개 공급 • 자세한 분배 계획은 추후 추가 예정 • 현재 유통 물량은 전체 물량의 10%로 이는 veFXS 초기 홀더들에게 에어드롭 한 물량 • 유통 물량 기준 시가총액: 약 $129m(약 1579억. 4월 14일 기준) • 전체 물량 기준 시가총액: 약 $1.29b(약 1조 5790억, 4월 14일 기준)

💡 FXS와의 비교

• FXS의 유통 물량 기준 시가총액: 약 $510m(약 6245억, 4월 14일 기준) • FXS의 전체 물량 기준 시가총액: 약 $3.14b(약 3조 8480억, 4월 14일 기준)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FXS가 FRAX와 FPI의 가치를 모두 반영하는 반면, FPIS는 FPI의 가치만 반영한다. 이에 대해 FRAX 창시자는 FXS가 이더리움이라면, FPIS는 이더리움 위에 설계된 ERC-20 토큰 같은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차이점은 짝을 이루는 스테이블코인과의 연계다. FRAX를 발행하면 담보되지 않는 부분만큼의 FXS가 소각된다. 이 관계 속에서 FXS의 가치가 FRAX의 수요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반면에 FPI는 전량이 담보로 보장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아직 자세한 토크노믹스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FPIS가 FPI의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지는 판단하기 이르다고 생각한다.

🔎 정리 & 의견

지금까지의 스테이블코인의 용도는 기존 달러의 재현이었다. 그러나 FPI는 달러의 단순 재현이 아닌 달러 위에 추가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미국에 디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는 한, FPI는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증가할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해 이자수익을 얻는 것이 아니라, 스테이블코인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이자 수익을 얻는다고도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FPI를 크립토 씬의 인플레이션 헤지 채권으로 보는 의견도 존재한다.

3월 CPI 지수가 발표되었을 때, 도권 테라 CEO는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앵커의 실질 이자율이 11%라는 트위터를 올렸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는 FPI를 활용해 11%의 이자 수수익을 올린다면 앵커 수익률과 같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FPI와 FPIS는 유니스왑에 유동성 풀이 있다. 그리고 FPI를 예치할 수 있는 커브 유동성 풀도 열려 있다. 다만 구매하려면 거래 수수료가 비싼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이용해야 하고 아직 많은 물량이 풀리지 않아 변동성이 심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