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 Time
▚ TL;DR
- 블록체인 게임 중 최상급의 빌드 퀄리티. 블록체인 요소를 경험하지 않고 코어 플레이 루프를 즐길 수 있음
- 인스턴스 던전 클리어로 획득할 수 있는 BIGTIME 토큰 또는 NFT로 현금화 가능
- Earn 초기 비용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개발사가 수익 수취
- 게임성과는 별개로 블록체인 게임 플레이어들이 과연 재미로 게임을 플레이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발생했음
▚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Gameplay
- Economy
- Revenue
- Data
- Conclusion
▚ 1. Introduction
- Big Time Studios에서 2023년 10월 10일 얼리 엑세스로 출시된 블록체인 MMORPG 게임이다. 개발사인 Big Time Studio는 에픽 게임즈, 라이엇 게임즈, 블리자드, EA 출신 직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21년 5월 DCG, OKX Ventures, Alameda Research 등으로부터 $21m의 투자를 유치받았다.
- 오늘은 이 Big Time 게임에 대한 간단한 분석을 정리하려고 한다.
▚ 2. Gameplay
간단 게임플레이 후기
3인칭 시점의 MMORPG로, 6인 파티로 인스턴스 던전을 클리어하며 캐릭터를 성장시키고 BIGTIME 토큰과 Cosmetics NFT를 획득하는 것이 메인 컨텐츠
- 내가 지금까지 플레이했던 신규 블록체인 게임 중 완성도 가장 높았다. 액션도 괜찮았고 던전 디자인도 세심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파티원이 자주 죽을만한 곳마다 죽은 파티원을 부활시킬 수 있는 제단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서 파티원 사망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없게 만들었다.
- 다만 베타 버전이라서 그런지 여러 편의 기능은 미숙한 부분이 많았고 특히 출시 초기에 서버렉이 너무 심해서 정상적인 플레이가 힘들었다. Personal Metaverse에 들어가기까지 몇 시간이 소요된 적도 있었다. 해외 서버에서는 서버렉이 그나마 덜한 편이었지만 핑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 또한 게임이 꽤나 깊이가 깊다. 튜토리얼 후로는 혼자서 절대로 진행을 못하고 6인 파티를 꾸려야 하기 때문이다. 파티를 모집하기 위해 길드와 커뮤니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고, 서로 간의 디스코드 소통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 이러한 구조는 게임 존속에 필요한 고관여 유저들을 잡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이들이 계속 수익을 보려면 결국 신규 유입이 필요하다. 상위 레벨로 가면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하위 레벨의 파티 장벽을 허무는 등 신규 유입을 위한 장기적인 비전이 필요해 보였다.
포켓 워치 시스템
Big Time의 직업. 2개의 근거리 딜러, 1개의 원거리 딜러, 1개의 서포터로 구성되어 있다
던전을 돌면 다양한 직업/등급/티어/능력치를 보유하는 포켓 워치를 획득할 수 있다
- 마을에서 각 직업의 포켓 워치를 구매 가능하며 이를 장착하면 언제든 해당 직업으로 변경할 수 잇다. 포켓 워치는 각자의 레벨이 있으며 이는 포켓 워치에 저장된다.
- 또한 포켓 워치와 별개로 계정 레벨이 존재한다. 계정 레벨은 포켓 워치를 변경해도 초기화되지 않는, 계정 자체의 레벨이다. 즉, 새로운 포켓 워치로 교체하면 계정 레벨은 유지되지만 워치 레벨은 1로 초기화된다.
- Big Time의 아이템에는 등급과 티어가 있다. 높은 티어는 계정 레벨 제한이 있고, 같은 티어 내에서 높은 등급일수록 더 강력한 아이템이 된다. 더 높은 티어, 높은 등급의 포켓 워치는 더 높은 능력치를 가지지만, 장착하려면 더 높은 계정 레벨을 요구한다.
- 포켓 워치에 붙는 능력치의 종류는 기본적인 스탯, 스킬 등 다양하다. 리니지의 아바타가 다이아로 뽑는게 아니라 필드애서 랜덤 능력치로 랜덤드랍 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물론 인게임에서 유저 간 거래도 가능하다.
- 따라서 유저들은 여러 포켓 워치를 육성하면서 계정 레벨을 키우고, 점점 더 높은 티어의 포켓 워치를 장착하고, 더 강력한 캐릭터를 육성하는 성장 사이클을 경험하게 된다.
던전: 핵심 게임플레이 루프
- 일반 던전: 별도의 입장료 없이 입장할 수 있는 인스턴스 던전으로, 클리어 보상으로 경험치와 각종 장비를 획득할 수 있다.
- 프레스티지 던전: 별도의 입장 조건 또는 입장료가 존재한다. 보통 특정 등급, 종류, 특성의 Cosmetics를 장착하는 것이 입장 조건으로 주어지며, 파티원 모두가 만족해야 한다. 입장료는 타임 크리스탈 또는 BIGTIME 토큰으로 지불한다. 시간이 남은 모래시계를 장착하고 프레스티지 던전 내에서 몬스터를 사냥하면 BIGTIME 토큰과 Cosmetics를 획득할 수 있다. (모래시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
- 두 던전의 차이는 입장료 여부, 토큰/NFT 드롭 여부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즉, 일반 던전을 통해 블록체인 요소를 접하지 않고 유저들은 Big Time을 온전히 즐길 수 있게 된다.
Personal Metaverse
- 일종의 마이룸으로, 현금화 가능한 아이템을 제작하기 위한 필수 장소이다. 인게임에서 귀환 스킬을 사용해 언제든 Personal Metaverse로 이동 가능하다.
- 맨 처음 상태에서는 아이템 강화, 창고 등의 기본적인 인게임 기능만 제공되지만,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 추가 공간을 구매해 Personal Metaverse를 확장할 수 있다.
- 추가 공간은 방과 방을 연결해주는 Space와 특정 유틸리티를 가지는 Workshop으로 구분되며, Workshop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시작 지점에서 한 개 이상의 Space를 필수로 연결해야 한다.
- Workshop과 Space는 등급이 나뉘어 있으며, 각 등급은 게임 출시 전 한정 수량으로 사전 판매되었다. 특정 등급의 Workshop을 Personal Metaverse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Workshop의 등급보다 같거나 높은 등급의 Space를 우선 보유해야 한다. (Rare 등급의 Workshop은 Rare 이상 등급의 Space에서만 연결 가능)
▚ 3. Economy
현금화 경로 요약
-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 Warden과 Space 구매 후 Personal Metaverse에 Warden 연결
- 모래시계 획득: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 구매하거나 Warden에서 제작
- Warden을 통해 모래시게에 시간 충전 (일정 시간을 기다리거나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즉시 충전)
- 시간이 충전된 모래시계를 장착 후 프레스티지 포털 던전에서 몬스터 처치 시 빅타임 토큰 획득 가능
Open Loot 마켓플레이스
빅타임 팀에서 개발한 NFT 마켓플레이스. 빅타임 게임 계정과 연동
- USDC로 거래하며, 이더리움/솔라나/트론 네트워크의 입출금을 지원한다. USDC 또는 BIGTIME 토큰 출금 시 KYC를 요구한다.
- 거래 처리는 가스비가 발생하지 않는 오프체인 거래로 추정된다.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의 아이템은 NFT라고 브랜딩을 했지만 백엔드 로직은 NFT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Workshop
- Armory: 빅타임 토큰 + 인게임 재화를 사용해 방어구 Cosmetics 제작
- Forge: 빅타임 토큰 + 인게임 재료를 사용해 무기 Cosmetics 제작
- Warden: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빅타임 토큰 획득에 필요한 모래시계 제작/충전
- Armory와 Forge에서 제작한 Cosmetics는 프레스티지 던전을 입장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용된다. 또는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도 Cosmetics 구매할 수 있다.
Warden
- 모래시계 제작: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BIGTIME 토큰 획득에 필요한 모래시계를 제작/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모래시계 제작은 타임 크리스탈을 요구하며 제작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즉시 완료할 수 있다.
- 모래시계 업그레이드: 모래시계 제작으로는 Common 등급 모래시계밖에 만들 수 없다. 등급의 모래시계 3개 +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BIGTIME 토큰 획득 효율이 더 높은 상위 등급의 모래시계를 만들 수 있다. 제작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즉시 완료할 수 있다.
- 모래시계 시간 충전: BIGTIME을 토큰을 획득하기 위한 시간을 충전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을 기다려 충전하거나 타임 크리스탈을 사용해 즉시 완료할 수 있다
- 제작한 모레시계는 캐릭터에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 시 충전된 시간이 소모되고, 해당 시간동안 프레스티지 던전 내에서 몬스터 처치 시 BIGTIME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 모래시계는 캐릭터 당 최대 5개까지 장착할 수 있으며, 캐릭터 생성 시 1개의 슬롯만 열려 있다. 추가 슬롯을 열기 위해서는 타임 크리스탈이 필요하다. 더 많은 모래시계를 장착할수록 더 많은 BIGTIME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토큰의 수요/공급
무에서 계속 발행되는 공급에 비해 수요 인센티브가 적은, 대부분의 블록체인 게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공유
수요
- 프레스티지 던전 입장료, Forge/Armory에서 Cosmetics 제작 비용 등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Cosmetics는 인게임 드랍이 되기도 하고 게임 수익화 핵심 동선인 Warden에 BIGTIME 토큰이 사용되지 않아 실질 수요는 적은 편이다.
공급
- 기본적으로 높은 레벨의 던전일수록, 모래시계의 등급이 높을 수록, 더 많은 모래시계를 낄 수록 더 많은 BIGTIME 토큰을 얻을 수 있다. 추가로 BIGTIME 토큰의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두 가지 안전장치가 있다.
- 안전장치 1: 모래시계 충전 시스템. 기본적으로 시간을 기다려서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기반으로 BIGTIME 토큰을 새롭게 발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유저가 직접 던전을 돌아서 채굴한다는 점, 타임 크리스탈을 이용해 모래시계를 즉시 충전할 수 있다는 변칙 요소가 있다.
- 출시 직후에는 즉시 충전으로 쓰는 타임 크리스탈보다 획득하는 BIGTIME 토큰의 가치가 훨씬 더 커서 모든 유저들이 즉시 충전으로 계속 게임을 진행했다. 이는 출시 약 3일 후 패치로 충전 시간이 늘고 단위 시간당 즉시 충전에 드는 타임 크리스탈이 크게 늘면서 정상 수치로 조정되었다.
- 즉, 즉시 충전 시스템은 토큰의 가격을 이용해 개발사가 매출을 올리는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타임 크리스탈의 가격은 고정이고, BIGTIME 토큰의 가치는 변동이기 떄문에 BIGTIME 토큰의 가치가 올라 즉시 충전 가격 < 기대 수익이 되면 유저들은 타임 크리스탈을 구매헤 더 많은 토큰을 채굴하게 된다. 반대로 즉시 충전 가격 > 기대 수익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인센티브가 없다.
- 안전장지 2: 레벨 별로 BIGTIME 토큰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별 유저 수 분포를 기준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높은 레벨의 프레스티지 던전으로 이동해야 토큰 획득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면 유저들의 지속적인 캐릭터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 4. Revenue
유료 재화 (타임 크리스탈)
-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하는 유료 재화. 모래시계 슬롯 확장, 프레스티지 던전 입장료, 모래시계 제작/업그레이트/시간 충전 가속 등 게임 다방면에 필요한 재화로, 토큰 획득 과정에 자연스럽게 소모되면서 유저의 토큰 채굴 활동과 개발사의 매출을 연계시긴다.
NFT 마켓플레이스
- 5%의 수수료를 Open Loot 마켓플레이스 거래에 부과한다. 정확한 거래 규모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기간 별 수수료는 알 수 없지만 $170m 이상의 거래가 진행되었다는 인포그래픽이 있는 것을 보면 적어도 Big Time 출 시 후 $8.5m 이상의 수익은 올렸다고 볼 수 있다.
기타 수수료
- NFT 렌털 구독비용, 토큰 출금 비용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 수수료를 충당하고 소소한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플랫폼 수수료 요소들이 존재한다.
▚ 5. Data
게임의 핵심 목적인 BIGTIME 토큰의 인게임 출금 규모를 통해 게임의 활성 지표 유추 가능
BIGTIME 토큰 유출
BIGTIME 토큰 출금 수량 (2023/10/10 ~ 2023/12/18)
- 오픈 당일인 2023년 10월 10일 약 1,000만개의 토큰이 유출되었고 안정화된 이후에는 일일 약 100만~150만개를 유지하다 12월 BIGTIME 토큰의 가격이 크게 상승했을 때 잠시 300만개로 증가했다.
유저 지표
BIGTIME 토큰 출금 요청 Unique 계정 수 (2023/10/10 ~ 2023/12/18)
BIGTIME 토큰 출금 요청 신규 계정 수 (2023/10/10 ~ 2023/12/18)
- 출시 직후 많은 유저가 유입된 후 신규 유저는 크게 Big Time 게임에 관심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토큰 가격이 올라 다시 한 번 주목을 받은 12월에도 출시 직후만큼의 유입은 확인할 수 없었다.
- 다만 Unique 출금 지갑 수 자체는 12월에 ATH를 달성했으며, 이는 신규 유저만큼 맨 처음에 플레이하고 더 이상 플레이하지 않던 유저가 상당수 복귀했음을 의미한다.
- 전체적으로 유입된 유저들은 꾸준한 리텐션을 보여주고 있었다. 파티 플레이로 진행되는 게임 특성상 게임을 계속 플레이해 다른 유저들과 성장 수준을 맞춰야 던전 진행이 원활하게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USDC 유입/유출
- Open Loot 마켓플레이스에서 타임 크리스탈,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더리움/트론/솔라나 네트워크를 통해 USDC를 입금해야 한다. 입금된 USDC는 마켓플레이스가 운용하는 지갑에 저장되므로, 이 지갑에서 오고 가는 토큰을 추적함으로써 USDC의 유입/유출 규모를 계산할 수 있다.
- 분석 난이도는 각각 Dune과 Flipside를 사용할 수 있는 이더리움과 솔라나가 낮을 것이고, 트론 네트워크는 구글 빅쿼리를 통해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다. 이번 분석 과정에서는 자세한 USDC의 유입/유출 수량까지는 계산하지 않았으나, 세 체인의 USDC 이동량 비중은 솔라나>=트론>이더리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6. Conclusion
- 2023년 10월 출시된 Big Time은 당시의 다른 블록체인 게임보다 확연히 높은 퀄리티+출시 첫날의 말도 안되는 ROI를 보여주면서 유저들의 관심을 끌었다.
- 나 또한 말도 안되는 ROI에 이끌려 약 3일 동안 파티플레이를 통해 적극적으로 게임을 했고, 파티플레이 게임 특성상 디스코드를 통해 여러 사람들과 소통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내가 가장 많이 느낀 것은 아래의 것이었다.
사람들이 게임을 재미를 느끼려고 하지 않고, 투자한 돈을 회수하려고 하고 있었다
- 같이 던전을 돌면서 수익 멘징, 회수 등의 단어를 들은 것이 수백번 정도 되었고 이러한 수익 관련 이야기가 본연의 게임플레이 관련 이야기보다 비중이 더 높았다. 게임플레이 이야기를 하더라도 궁극적인 목적은 더 효율적인 성장을 통한 더 빠른 채굴인 경우가 많았다.
- 내가 생각하는 “게임이 재미있다”의 기준은 금전적인 인센티브가 없어도 게임을 즐길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잠재적인 토큰 보상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게임은 재미가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또는 본연의 재미가 있는 게임이더라도 수익 레이어를 추가하면 그 본연의 재미가 오히려 침해를 받을 수 있다.
- 그래서 Big Time을 하는 3일동안 이것은 게임이 아닌 노동으로 느껴졌다. 수익화 레이어에 깊이 있는 게임 레이어가 다 뭍히는 것이 무언가 아까웠다. DeFi Kingdom처럼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의 수익화 경험에 가벼운 gamification을 붙이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인 게임으로 보였다.
- 결국 메타인지가 필요하다. 특정 시장에서 유저가 원하는 제품을 가장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유저의 입장이 돼서 그들의 행동을 생각하고, 이에 부합하는 제품을 기획해야 할 것이다. 이는 비단 게임뿐만 아니라 어떤 field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리고 이번 분석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Web3 게임은 재미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Web3 게임을 해보기는 했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