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Cube

*취미생활방 서포터즈 활동으로 작성된 게시글입니다.

                                            

🔎 개요

• 넷마블 자회사 넷마블에프엔씨의 BNB Chain 기반 P2E 플랫폼

• 아이텀에서 아이텀큐브로, 아이텀큐브에서 큐브로 리브랜딩을 진행

🔎 Cube의 비전

•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경계를 허물고 크립토 유저와 일반 유저를 잇는 것

• 게임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웹툰, 웹소설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확장 예정

• 글로벌 생태계 구축을 위해 CUBE 런처 내에서 자동 번역을 지원하는 채팅, 라이브 스트리밍 등을 지원 예정

🔎 ITAMCUBE

• CUBE 생태계 내의 다양한 활동에 사용되는 토큰

• NFT 거래 및 업그레이드 / 스테이킹 / 거버넌스 참여 등에 사용 가능

🔎 ITAMCUBE 토크노믹스

총 100억 개 발행

• 74%(74억 개): 생태계

• 3%(3억 개): 팀 물량

• 나머지: 스왑 물량, 준비금, 마케팅 등

• 생태계 물량의 사용처, 팀 물량의 락업 기간 등 각 사용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나오지 않음

💡 Golden Bros

• 큐브 생태계의 첫 번째 게임

• 3v3 PVP 슈팅 게임이며 4월 28일에 얼리 엑세스가 시작됨

• 국내 법상 대한민국에서 플레이 불가능

Free to Play & Play to Earn

• F2P: 기본 게임 플레이는 무료

• P2E: NFT 코스튬을 장착하고 게임을 하면 토큰을 얻을 수 있음

• NFT 코스튬의 내구도 같이 게임 토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장치도 존재

🔎 정리 & 의견

최근 넷마블 본사에서 클레이튼 기반 P2E 플랫폼 Marblex를 런칭했다. 같은 회사에서 두 개의 P2E 플랫폼이 나오는 것이 조금 혼란스러울 수도 있지만 큐브와 Marblex는 추구하는 바가 다르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은 최근 열린 NTP에서 Marblex가 게임을 중심으로 블록체인을 붙인다면, 큐브는 게임, 웹툰, 웹소설, 커머스가 전부 결합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큐브는 BNB Chain 기반이다. 이는 클레이튼과 같은 체인에 비해 글로벌 진출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이미 큐브 생태계 첫 게임인 Golden Bros가 바이낸스 NFT를 통해 성공적인 NFT 프리세일을 진행했다.

Play에 초점을 맞춘 P2E의 방향성은 좋았다. Play to Earn의 목적이 Earn이 되는 순간 게임은 더 이상 게임으로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선 재미있는 게임을 만든 다음에 Earn을 논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지속 가능한 게임을 위해 토큰 설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토큰 설계가 잘못되었다면 재미있는 게임이더라도 언제든지 초점이 Play에서 Earn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ITAMCUBE 토큰도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토큰 사용의 자세한 정보가 나오지 않았고, DeFi 섹션도 출시 전이다. 74억 개의 생태계 물량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면서 분배하고 잘 순환시키는 것이 큐브의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