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ght Crows
▚ TL;DR
- CROW 토큰은 $0.75~$1 사이를 움직이는 세미 스테이블코인으로 설계됨
- 토큰의 death spiral을 방지하기 위해 가격이 $0.75 이하로 떨어지면 토큰의 공급 중단
- 안정적인 게임 경제는 달성했지만 위메이드 내부에서는 사업적으로 성공한 토큰 모델로 보지 않는 것 같음
▚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Tokens
- Economy
- Conclusion
▚ 1. Introduction
- 나이트 크로우는 위메이드에서 출시한 MMORPG 게임이다. 2023년 국내 서버가 먼저 출시되었고, 블록체인 기반 경제를 적용한 글로벌 서버가 2024년 3월 출시되었다.
- 이 게시글에서는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버전에서 위메이드가 고안한 새로운 토큰 경제를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2. Tokens
-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버전의 블록체인 경제는 총 7개의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게임 내 기축 토큰인 CROW 토큰을 중심으로 인게임 아이템과 대응되는 6개의 아이템 토큰이 연결되어 있다.
CROW 토큰
나이트 크로우 블록체인 경제의 기축 토큰. 유료 재화인 다이아와 고정 비율로 연결되어 있음.
- 획득:
- 위믹스 플레이 플랫폼 (웹사이트 또는 어플) 또는 PNIX DEX (위믹스의 오더북 거래소 플랫폼)에서 구매
- 신규 발행: 인게임에서 v다이아 84개로 CROW 토큰 1개 발행 가능
v다이아: 인앱 결제를 통한 획득을 제외한, 인게임 거래소 아이템 판매 및 컨텐츠 보상으로 획득한 다이아
- 소모:
- PNIX DEX에서 아이템 토큰 구매에 사용 (거래쌍이 아이템토큰/CROW로 구성됨)
- 소각해 CROW 토큰 1개당 인게임 다이아 80개 획득
- 45레벨 이상 캐릭터만 신규 발행 가능
- 출시 초기 기준 무/저과금 유저가 45레벨에 도달하기까지는 약 2주일이 소모되었다
- 직전 24시간의 평균 CROW 토큰 가격이 $0.75 이하로 내려가면 신규 발행 중단
나이트 크로우의 주요 인게임 아이템을 블록체인 토큰으로 발행, 외부 DEX에서 CROW 토큰으로 판매 가능
- 획득:
- PNIX DEX에서 CROW 토큰으로 구매
- 신규 발행: 인게임에서 대응되는 아이템 + v다이아로 발행 가능. 필요한 아이템과 v다이아 개수는 아이템마다 상이
- 소모:
- 소각해 대응되는 아이템 획득
- CROW 토큰과 마찬가지로 신규 발행은 45레벨 캐릭터 이상만 가능하다.
- CROW 토큰과는 달리 가격에 따른 발행 중단 메커니즘이 없다. 따라서 CROW 토큰의 신규 발행이 중단되었을 때 아이템 토큰을 통한 우회 현금화가 가능하다.
CROW 토큰의 특성
CROW 토큰과 강하게 결합되어있는 인게임 다이아는 다른 리니지라이크 게임의 유료재화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출시 후 약 2주일 간의 CROW 토큰 가격 추이. 출시 직후에는 토큰을 발행/판매하는 45레벨 이상 유저가 없어 비정상적으로 가격이 상승했었다.
- CROW 토큰 1개는 인앱 결제 재화인 다이아 84개와 교환된다.
- $3으로 다이아 240 개를 구매할 수 있는 인앱 결제를 기준으로 하는 CROW 토큰 1개의 가치는 약 $1.0465이다.
- CROW 토큰의 개당 가격이 정해지고, 특정 가격 이하로 하락하면 발행이 중단되는 메커니즘을 통해 CROW 토큰은 특정 구간 내에서 가격이 유지되는 세미 스테이블코인으로 작동한다. 아래에서 자세한 프로세스를 살펴보려고 한다.
CROW 토큰의 가격 상승 시
배경 지식: CROW 토큰은 인앱 결제 다이아로는 교환할 수 없다.
- CROW 토큰의 가격 상승
- 인앱 결제로 다이아 구매
- 인앱 결제 다이아로 거래소 아이템 구매
- 해당 아이템 재판매로 v다이아 획득
- v다이아를 CROW 토큰으로 교환
- 매도해 차익 획득
전제: 다이아에 대한 유저들의 꾸준한 수요가 존재해야 함
- CROW 토큰의 가격 하락
- CROW 토큰을 $1.04보다 저렴하게 매수하면 인앱 결제보다 더 저렴하게 다이아 구매 가능
- 해당 수요로 인해 CROW 매수 수요 증가 및 가격 상승
- 이 경우 CROW 토큰의 (이론적인) 가격 하한은 신규 발행 중단선인 $0.75가 된다.
- 하지만 $0.75 아래에서 CROW 토큰을 구매할 수요가 부족하다면 현 미르4의 DRACO처럼 가격만 유지되고 거래는 거의 없는 죽은 토큰으로 남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 3. Economy
Night Crows 글로벌 버전의 경제 흐름
현금화 과정
인게임 CROW 토큰 발행 UI
- 방법 1: 유저는 여러 인게임 활동을 통해 아이템을 획득하고, 이를 인게임 거래소에 판매해 v다이아를 획득. 해당 v다이아를 CROW 토큰으로 교환
이 경우, CROW 토큰의 인당 일일 발행량은 계정 당 최대 100개로 제한된다.
- 방법 2: CROW의 토큰의 가격이 $0.75 이하로 하락해 신규 발행이 중단된 상태라면, 아이템 토큰을 발행해 우회 현금화를 진행
경로: 다이아로 거래소에서 아이템 구매 → 아이템 토큰으로 발행 → PNIX DEX에서 판매 → CROW 토큰 현금화
문제 1: 매출 잠식 가능성
- 다이아는 CROW 토큰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상황에서는 유저들의 다이아 인앱 결제가 토큰의 신규 발행, 즉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
- CROW 토큰의 인플레이션을 대처하려면 유저들이 CROW 토큰을 구매 후 소각을 통해 인게임 다이아로 전환해야 한다. 이 CROW 매수 수요는 인앱 결제를 대체하므로 해당 수요만큼 인앱 결제 매출 수요가 잠식된다.
- 또한 공식 현금화 거래 이외에도 아이템매니아와 같은 블랙 마켓을 통한 통한 다이아 거래도 지속 발생하고 있다.
- 외부 사이트를 통한 거래는 게임의 핵심 현금화 흐름와 정면으로 충돌하므로 작업장 계정을 매우 철저하게 막을 필요가 있고, 실제 위메이드도 해당 액션을 취하고 있다.
문제 2: CROW 토큰의 발행 방식
- CROW 토큰의 인게임 발행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인게임 토큰 발행 가능한 상태 (직전 24시간 평균가격이 0.75$ 이상)
- 유저가 지갑 연결 후 토큰 발행 신청
- 토큰 발행은 직전 24시간 평균가격이 0.75$ 이상으로 유지되는 한 계속 이어짐 (인당 일일 100개의 캡은 존재)
- 인게임에서 토큰을 발행한 유저들이 CROW 토큰을 매도
- 매도 압력으로 CROW 토큰이 하락하고, 직전 24시간 평균 가격이 $0.75 이하로 하락하면서 토큰 발행 중단
- CROW 토큰의 가격이 안정화된 후 약 일주일 간격으로 해당 발행 절차로 CROW 토큰이 새롭게 발행되고 있다.
- 발행이 가능해진 뒤 위믹스 3.0 체인은 CROW 토큰의 발행 tx로 체인이 빠르게 과부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CROW 토큰의 발행에서 매도까지의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 토큰 발행 가능 후 재중단까지는 약 10분 ~ 1시간 정도 소요되며 사람들이 몰리면서 그 시간은 점점 더 단축되고 있다.
- 체인이 스트레스 테스트를 받으면서 블록 생성이 멈추는 등 여러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추첨 기반 발행 등 tx 물량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발행 방법을 채택했다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문제 3: 위믹스 홀더의 불만
- CROW 토큰 자체는 게임사의 개입을 통해 어느 정도 안정화가 가능하지만 게임의 안정화와 성장이 위믹스의 가격 및 거래량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 이로 인한 위믹스 홀더의 불만이 조금씩 생기고 있다.
▚ 4. Data
인게임 매출
1분기 실적보고 시점 기준 일 매출 30억 수준을 유지
- 이후 일부 지표는 떨어졌으나 일정액 수준 이상의 매출은 꾸준히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래소 성과
출시 후 가격 하향 안정화. 인게임 활용도가 높은 특정 아이템(MORION, PAPRYUS, TEAR) 위주로 거래량 형성
- 게임 출시 이후 한달동안 CROW 토큰은 일평균 약 $560k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6개의 아이템 토큰은 총합 일평균 약 $200k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아이템 토큰은 CROW 토큰 기반으로 거래되면서 CROW 토큰의 거래량 상승에도 기여했다.
- 또한 가격이 안정화된 후 지속적인 발행중단 조치를 통해 최저가 $0.7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0.75 아래에서도 CROW 토큰을 구매하고 소각해 인게임 다이아로 교환하는 매수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온체인 활동
위믹스 3.0 익스플로러를 통해 CROW 토큰/아이템 토큰의 발행/소각 및 PNIX DEX와 PLAY DEX의 거래내역을 모두 확인 가능
- CROW 토큰의 발행이 열릴 때마다 약 30~40만개의 토큰이 발행된다. 매초 약 10개 이상의 토큰 발행 tx가 전송되며 발행 기간동안 총합 약 수천 개의 tx가 기록된다.
- 발행 기간 이후에는 CROW 토큰 소각 위주의 산발적인 tx만 발생한다.
- 이외 PNIX DEX의 모든 거래가 블록체인 tx로 기록되면서 나이트 크로우 게임 출시 이후 위믹스 3.0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5. Conclusion
블록체인 게임이 힘을 받으려면 블록체인 경제가 붙으면서 기존 게임 경제와 시너지가 일어나야 한다. 그것이 위메이드가 제시한 블록체인 게임의 비전이기도 하다. 나이트 크로우는 그 비전을 실현하려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복잡한 뭔가 묘한 실험이다.
CROW 토큰의 지속 가능성
- 나이트 크로우의 흥행으로 CROW 토큰의 매수 수요가 증가해 CROW 토큰의 가격이 오르면 인앱 결제를 거치는 아비트라지를 통해 CROW 토큰의 가격이 조정된다.
- 이 과정에서 CROW 토큰의 가격 상승분이 인앱 결제로 전환되어 위메이드에게 들어오게 된다. 토큰을 직접적으로 판매해서 수익을 얻을 수 없는 제약 상황에서 토큰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 이 구조에서는 거래량이 수수료 이외에도 인앱결제 아비트라지를 통해 매출과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거래량을 지속해서 유발시길 무언가가 필요하다.
- 게임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도 필요하지만 중앙 거래소 상장으로 이 방법을 헤쳐나갈 수도 있을 것이다. 작년부터 위믹스 온보딩 게임의 게임 토큰 발행처가 위믹스 토큰과 같은 체인인 위믹스 3.0 체인으로 옮겨가면서 거래소 상장이 가능해졌다. 중앙 거래소를 통해 거래량과 변동성을 발생시키고 게임 토큰을 얻기 위한 허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이트 크로우 토큰 경제에 대한 관점
토큰의 마케팅 효과와 손쉬운 회수를 통한 시장 확장 vs 토큰으로 인한 매출 잠식
- 리니지라이크를 주로 플레이하는 유저들은 투자 여부를 결정할 때 회수 가능성도 꽤 중요한 요소로 생각한다. 즉, 처음부터 일정 부분을 회수할 것을 기대하고 수천만원 어치의 큰 금액을 과금하는 것이다.
- 여기서 더 많은 유저를 모객하고 유저의 회수 과정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해 블록체인 및 토큰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앱 결제와 토큰을 직접적으로 연결했고, 한쪽을 취하면 다른 쪽을 버릴 수밖에 없는 trade-off가 구성되었다. CROW 토큰의 거래량을 보장하기 위해 IAP의 일부를 희생한 것이다.
Web3 = Better?
Trade-off를 통해 과연 게임이 더 잘 되었는가? 결과만 이야기하자면 위메이드 내부에서는 “No”라고 결론내린 것 같다.
- 실제로 나이트 크로우의 경제는 몇몇 불안 요소가 있지만 꽤나 안정적이다. 하지만 안정적인 블록체인 게임에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다.
- 출시 직후 CROW 토큰 가격이 뛰었을 때 잠깐 이슈가 됐을 뿐, 토큰 가격이 정상화되자 Web3 유저들의 관심에서 빠르게 사라졌다.
- 동시접속자 수도 30만명 중반을 유지하고 있다. 전작인 미르M 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대작 MMORPG라는 지위에서 그렇게 만족스럽지는 않을 것이다.
- 안정적이고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토큰 모델을 적용하면서 Web3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토큰의 마케팅 효과가 희석되었다.
- 이에 위메이드 내부에서는 Web3를 붙임으로써 업사이드가 부족했다고 판단했던 것 같다. 다음 주주총회에서 다음 토큰 모델은 토큰의 가격이 오를 수 있는 모델로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 시장에서 제품의 성공 여부를 결정 짓는 것은 유저다. 나이트 크로우의 현 모습은 건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블록체인 게임 모델이 아닌, 돈을 잃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운 좋게 탈출한 누군가는 큰 돈을 벌 수 있는 폰지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는 현재 블록체인 게임 산업의 현황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