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els
▚ TL;DR
- 2022년에 잠깐 반짝한 캐주얼 게임을 바이낸스와 로닌이 쌍으로 멱살잡고 하드캐리
- PIXEL 출시와 함께 토큰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한 게임 경제 조정
- PIXEL로 구매하는 인게임 재화/VIP 멤버십이 주요 수입원으로 추정
- 유저 수를 온체인에 기록하고 이를 DAU로 PR
▚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Gameplay
- Economy
- Revenue
- Data
- Conclusion
▚ 1. Introduction
PIxels는 2022년 9월에 출시한 캐주얼 농사 게임이다. 폴리곤에서 처음 런칭했고, 출시 직후 잠깐 hype를 끌었지만 그 이후에는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나도 폴리곤에 출시했을 때 잠깐 게임을 즐겼다가 바로 그만둔 기억이 있다.
이랬던 게임이 2023년 10월 로닌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블록체인 게임 종합 플랫폼으로의 변환을 선언하면서 한창 주가가 올라가던 로닌에 온보딩된 첫 게임으로서 spotlight을 받게 되었고, 단숨에 많은 유저들을 끌어모았다. 그리고 hype가 꺼지지 않고 이어지면서 2024년 2월 바이낸스 런치풀 상장까지 달성하게 되었다.
오늘은 이 Plxels 게임에 대한 간단 분석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 2. Gameplay
좌: Pixels 게임 화면, 우: PIXEL을 보상으로 지급하는 퀘스트
최근에 다시 플레이한 경험으로는 그래픽 개선점, 컨텐츠 깊이를 제외하면 핵심 게임플레이 루프는 2022년과 크게 변하지 않았다. Pixels의 핵심 게임플레이 루프는 다음과 같다.
- Land NFT에서 원자재를 채집하고 가공품 제작 (채집/제작을 위한 재료/도구 구매에 코인 필요)
- 특정 농작물과 아이템을 요구하는 퀘스트를 완료해 인게임 재화 코인 획득
- 1~2를 반복하면서 채집/제작 기술의 레벨 상승. 채집/제작 가능한 아이템의 종류를 늘림
- 종종 뜨는 PIXEL를 보상으로 지급하는 퀘스트를 완료하면서 Earn
로닌 지갑 없어도 이메일/휴대전화를 통해 초기 온보딩이 가능하다는 점은 블록체인 요소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 온보딩 측면에서 긍정적이다(그런 유저가 Pixels에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메일/휴대전화로 생성한 계정은 VIP 멤버십 구매 등 PIXEL을 활용한 컨텐츠를 이용하려면 로닌 지갑을 만들어야 한다.
decrypt는 동물의 숲 같은 게임이라고 이야기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스타듀 벨리에서 농사 파트만 따서 외부 경제를 연결시킨 게임 같았다.
▚ 3. Economy
토큰
기존에는 BERRY를, PIXEL 출시 이후부터는 BERRY 대신 PIXEL을 게임 토큰으로 사용한다. PIXEL은 인게임 재화인 코인 구매 또는 VIP 멤버십 구매에 주로 사용된다. 추후 Pet NFT 발행이나 편의성 업그레이드 등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PIXEL 출시와 함께 게임 경제 구조도 바뀌었다. 기존에는 종류 상관없이 모든 생산물을 NPC에게 BERRY로 팔 수 있어서 BERRY의 인플레이션이 크게 발생했었다. 이를 퀘스트 구조로 변경, NPC가 특정 아이템만 코인 또는 PIXEL로 매입하도록 만들었다. 퀘스트 구조 하에서는 팀이 PIXEL 매입 퀘스트의 등장 확률을 조정함으로써 토큰의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Land NFT의 Opensea 리스팅
Pet NFT의 Mavis Marketplace 리스팅
NFT
Land NFT가 게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게임의 핵심 유저가 많아질수록 Land NFT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로닌 마이그레이션과 같이 출시된 Pet NFT는 아직까지는 특별한 유틸리티가 없어 보인다. 추후 PIXEL을 사용해 신규 Pet NET를 발행할 수 있다고 하니 추가 유틸리티를 기대해볼 만하다.
▚ 4. Revenue
게임의 수입원은 크게 3가지다. NFT 로열티, 인게임 재화 구매, 그리고 VIP 멤버십.
2022년 초 Land NFT 런칭과 함께 $500k 이상의 NFT 로열티 수익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3년부터 NFT 마켓플레이스의 전반적인 로열티 정책 변화와 함께 거래량 대비 로열티 비율은 2022년 대비 10%~20%까지 하락했다.
Land NFT의 월별 로열티 수입 및 거래량 대비 로열티 비중 ($)
로닌 마이그레이션과 함께 Pixel의 주 수입원은 VIP 멤버십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VIP 멤버십이 없으면 게임의 Earn이 크게 제한되는 구조(P2P 마켓플레이스 이용 불가, PIXEL 보상 퀘스트 출현률 감소)여서 원활한 Earn을 원하는 유저는 VIP 멤버십을 구매해야 한다. 가격은 3개월 기준 매월 $10~$12정도. 오래 구독할수록 월별 구독 가격은 더 저렴해진다.
또한 PIXEL이 출시하면서 PIXEL로 인게임 재화인 코인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 게임플레이 시간 단축이라는 측면에서 수입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어 보인다.
좌: 인게임 코인 구매 화면, 우: 인게임 VIP 멤버십 구매 화면
▚ 5. Data
로그인 컨트랙트 쿼리를 통해 계산한 로닌 마이그레이션 이후 Pixels의 DAU
게임 서버는 오프체인에 존재하지만 특이하게 별도의 로그인 컨트랙트를 통해 유저 로그인 로그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있다. 폴리곤 출시때부터 해당 모델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로닌 체인의 로그인 컨트랙트가 유저 로그인을 logging하는 방법
로그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유저 정보는 연동한 지갑이 아니라 UID라는 별도의 identifier다. 이를 통해 유저가 지갑을 잃어버리거나 해킹당해도 새로운 지갑을 연결하는 등 게임 계정과 유저 지갑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온체인에서 유저 수를 100% 투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도 생겼다.
VIP 멤버십 매출과 인게임 재화 매출은 인게임 오프체인 거래로 진행되므로 정확한 수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대신 게임으로 입금되는 토큰 수량의 변화를 통해 그 규모를 추정할 수는 있었다.
PIXEL 출시 전 VIP 멤버십은 WRON으로 구매가 가능했고, 일별 WRON 인게임 입금량을 통해 VIP 멤버십의 매출 규모를 추측할 수 있었다. 확인 결과 hype가 한창 붙고 있던 23년 12월 $20k~$30k 정도로 입금량이 형성되었고 오히려 바이낸스 런치풀이 발표된 2월에는 발표 당일에만 입금량이 잠깐 증가했다가 그 이후로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
▚ 6. Conclusion
2023년 말부터 불어온 Pixels의 hype를 보면서 지금 블록체인 시장의 본질은 토큰이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2023년 10월 이후 Pixels는 로닌과 바이낸스가 붙으면서 Pixels는 큰 게임성 변화 없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지금 블록체인 게임의 hype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토큰이다. 따라서 토큰 관련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곳이 게임의 hype도 결정하게 된다. 바로 거래소다. 그 중에서도 바이낸스가 최근 게임 프로젝트를 위주로 무호흡 런치풀을 진행하고 있으니 바이낸스가 게임 프로젝트에 가지는 영향력은 절대적일 것이다.
게임을 홍보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Web2 게임의 대형 퍼블리셔 역할을 Web3에서는 토큰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거래소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직은 게임성보다 퍼블리셔의 명성과 토큰 상장 기대감이 블록체인 게임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더 커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