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Project XENO

▚ TL;DR

  • Web2 개발사의 검증된 게임성
  • StepN과 유사한 토큰 구조. 결과도 유사
  • NFT가 거버넌스 토큰의 가격 하락을 감당하는 구조

▚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2. Gameplay
  3. Economy
  4. Revenue
  5. Conclusion

▚ 1. Introduction

  • Project XENO는 일본 상장사 CROOZ의 자회사인 CROOZ Blockchain Lab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전략 게임이다. 2023년 5월 10일 글로벌 출시했으며, 모바일(앱 스토어, 구글 플레이)에서 플레이 가능하다.
  • 블록체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Web2 향이 강한 게임으로, 마케팅도 Web2를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을 주로 진행하였다. 23년 8월에는 Web3 유저를 타깃으로 마케팅을 진행, 많은 유저들을 끌어모았지만 내부 경제의 이슈로 인해 토큰의 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 오늘은 이 Project XENO 게임에 대한 간단한 분석을 정리하려고 한다.

    ▚ 2. Gameplay

    초기 온보딩

    Desktop View Project XENO의 온보딩 과정

  • 초기 유저 온보딩 및 게임 튜토리얼에 신경을 많이 썼다. 약관 동의를 한 다음 바로 튜토리얼 전투를 진행해 기본적인 게임 메커니즘을 익힌다. 주목할 점은 게임 리소스 다운로드 시기가 이 튜토리얼 전투 이후라는 것이다. Web3나 Web2를 떠나서 유저에게 코어 게임플레이 루프를 최우선으로 제공해 이탈을 막고자 하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 튜토리얼 완료 시 인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XENO 캐릭터와 재화를 지급한다. 해당 캐릭터로 토큰을 얻을 수는 없지만 초기 온보딩 유저들이 허들 없이 바로 게임플레이로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Arena 배틀

    Desktop View Project XENO의 게임플레이 화면

엑시 인피니티와 클래시 로얄을 게임성을 적절히 섞은 게임의 핵심 PvP 모드

  • 3개의 XENO 캐릭터를 팀으로 매 턴 정해진 에너지 내에서 XENO 캐릭터의 스킬 카드를 사용, 다른 유저의 XENO 캐릭터와 전투한다. 상대의 모든 XENO 캐릭터의 HP를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 XENO 캐릭터가 존재하고, 매 턴 정해진 마나 내에서 사용할 XENO 캐릭터의 스킬을 정하는 것은 엑시 인피니티에서, 각 XENO에 장착하는 스킬 카드의 레벨 구조 등은 클래시 로얄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 또한 3x3 격자 내에서 XENO 캐릭터의 진형을 정하는 등 이 게임만의 독자적인 전략 요소도 존재했다. 엑시 인피니티가 P2E 게임으로 시작해 전략 요소를 살려 e-스포츠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처럼 Project XENO도 XENO 캐릭터와 스킬 카드의 상한이 있는 Limited Arena 룰을 계획하는 등 e-스포츠 영역으로도 진출하려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XENO 캐릭터와 XENO NFT

    Desktop View 위: XENO 캐릭터 정보, 아래: XENO 캐릭터의 CHARGE 게이지와 토큰 획득 화면

엑시 인피니티의 Axie NFT 위치에 있는 게임의 핵심 캐릭터

  • 각 캐릭터는 스탯과 패시브/스페셜 스킬이 있으며, 인게임 재화 및 토큰을 사용해 캐릭터를 강화할 수 있다. XENO 캐릭터는 NFT 버전과 일반 버전으로 나뉜며, NFT 버전은 Arena 배틀 승리 시 출금이 가능한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 CHARGE 게이지: 토큰의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피로도 시스템. Arena 배틀 승리 시 팀에 포함된 XENO NFT 캐릭터는 획득한 코인 수량만큼 CHARGE 게이지가 감소하게 된다. CHARGE 게이지가 전부 소모되면 토큰을 획득할 수 없고, 다른 XENO NFT 캐릭터를 소모해야만 CHATGE 게이지를 회복할 수 있다.

    ▚ 3. Economy

    Desktop View Project XENO의 핵심 경제 구조

기존 게이머들의 편의성을 우선순위에 두면서 블록체인 경제 구조가 짜여짐

전체적인 틀은 StepN의 것을 차용

UXE 토큰과 U-Coin

StepN의 GST와 대응되는 온체인 토큰. 웹에서는 UXE 토큰으로, 인앱에서는 U-Coin으로 사용됨

  • U-Coin: 팀에 1개 이상의 XENO NFT 캐릭터를 포함한 상태에서 Arena 랭크 배틀에 승리해 획득할 수 있다. 해당 방법으로 얻은 U-Coin만 블록체인 토큰인 UXE로 출금이 가능하다. UXE 토큰 입금, 인앱 결제로도 획득할 수 있으며 인게임 재화 구매, XENO NFT 캐릭터 상자 개봉 등에 사용된다.
  • UXE 토큰: U-Coin의 온체인 토큰 버전으로 U-Coin을 출금하거나 웹 상점에서 신용카드로 구매/인앱 상점에서 인앱 결제로 획득할 수 있다. 웹 상점에서 UXE 토큰으로 구매 가능한 물품들이 존재한다.
  • 위의 소모처에서 사용된 U-Coin과 UXE 토큰은 배틀 승리로 획득하는 U-Coin의 재원을 보충하는데 사용된다. Desktop View
  • U-Coin 풀: 인플레이션 조정 메커니즘. 전날 인게임 소모된 U-Coin과 UXE의 수에 따라 다음날 유저가 배틀 승리로 획득할 수 있는 U-Coin의 수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2024년 1월 기준 매 시간 초기화되자마자 U-Coin 풀이 빠른 속도로 소모되는 등 안정되지는 않은 경제 상태를 보이고 있다.

    GXE 토큰과 G-Coin

StepN의 GMT와 대응되는 온체인 토큰. 웹에서는 GXE 토큰으로, 인앱에서는 G-Coin으로 사용됨

  • G-Coin: GXE 토큰 입금, 인앱 결제로 획득하거나 특별한 GENO NFT 홀더 대상으로 매 Arena 시즌 종료 때마다 에어드랍된다. 인게임에서 XENO NFT 캐릭터 상자 개봉 등에 사용된다.
  • GXE 토큰: G-Coin의 온체인 토큰 버전으로 웹 상점에서 신용카드로 구매/인앱 상점에서 인앱 결제로 획득할 수 있다. 웹 상점에서 UXE 토큰으로 구매 가능한 물품들이 존재한다.

    GXE 토큰의 특징

  • G-Coin 입금에 사용되는 GXE 토큰은 전량 소각된다. 게임 출시 후 23년 11월 28일까지 약 105만달러에 해당하는 2,178만 GXE가 소각 그 중 G-Coin 입금으로 소각된 물량이 939만 GXE로, 전체 소각 분량의 약 40%를 차지하였다.
  • 동시에 인게임의 G-Coin은 GXE 토큰으로 출금이 불가능하다. 이를 통헤 게임의 거버넌스 토큰 위치에 있는 GXE 토큰의 가치를 부양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게임 토큰의 가격 고정

온체인에서 GXE 토큰과 UXE 토큰의 개당 가격은 변하지만, 인게임에서 U-Coin과 G-Coin의 개당 가격은 $0.01로 고정됨

  • 기존의 블록체인 게임들은 온체인과 연동된 인게임 재화의 경우, 해당 재화의 가격이 외부 거래소에 의해 빠르게 변해 인게임 경제에 혼란을 주는 경우가 존재했다. Project XENO는 해당 토큰의 인게임 가격을 고정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 인게임에서 U-Coin과 G-Coin의 1개의 가격은 $0.01로 고정되어 있고, U-Coin 또는 G-Coin 1개를 얻기 위해서는 $0.01의 가치에 해당하는 UXE 토큰 또는 GXE 토큰을 입금해야 한다.
  • 예를 들어, UXE 토큰의 개당 가격이 $0.0001이라면 인게임에서 U-Coin 1개를 얻기 위해서 100 UXE를 입금해야 한다. 이는 변동의 대상이 온체인 토큰의 가격이 아닌 개수로 바꿈으로써 온체인 토큰의 가격 변동성이 인게임 경제를 분리시킨다.
  • 위의 고정 메커니즘은 출금 시에도 적용된다. 즉, 1개의 U-Coin을 출금하면 $0.01 어치의 UXE 토큰이 개수에 맞추어서 발행된다.
  • 하지만 해당 구조는 UXE 토큰의 가치 하락 시 달러 가치를 맞추기 위해 출금 시 점점 더 많은 UXE 토큰을 발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환전 토큰의 달러 가치를 보장함으로써 무한 발행의 문제에 빠진 LUNA의 구조와 유사하다.

    NFT 박스

    Desktop View NFT 박스는 별도의 세일 보상, 인게임 보상을 통해 획득 가능

  • 개봉하면 XENO NFT 캐릭터 또는 XENO 캐릭터에 장착 가능한 무기/부적 NFT를 획득 가능하다.
  • XENO NFT 캐릭터 상자는 개봉에 $80 상당의 G-Coin, 무기/부적 NFT 상자는 개봉에 $60 상당의 U-Coin이 요구되며, 이는 해당 NFT의 발행 비용이자 손익 분지검으로 인식되고 있다.

    XENO NFT 캐릭터

    Desktop View XENO NFT 캐릭터는 많이 보유할수록 인게임 혜택이 증가

  • NFT 박스를 개봉해 신규로 획득하거나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다른 사람의 NFT를 구매 가능
  • XENO NFT 캐릭터를 더 많이 보유할 수록 보물상자 슬롯 및 동시 오픈 가능 개수가 증가
  • 보물상자: Arena 전투 플레이 보상으로 습득. 슬롯을 사용해 일정 시간 후에 개봉. 개봉 시 인게임 재화 및 스킬 카드와 획득 가능 (클래시 로얄과 유사한 구조)
  • 현재 XENO NFT 캐릭터의 바닥가는 $50 수준. 인게임에서 G-Coin을 소모해 XENO NFT 캐릭터를 획득하고, 해당 NFT를 2차 거래로 판매하는 것 이외에 G-Coin을 게임 외부로 출금할 방법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저의 수익화 창구 및 GXE 토큰의 매도 압력을 XENO NFT 캐릭터가 받아주고 있는 모습이다.

    ▚ 4. Revenue

    인앱 상점

  • 인앱 결제를 통해 XENO 캐릭터 또는 XENO NFT 캐릭터를 뽑기로 획득할 수 있다. 인게임 NFT 뽑기는 현 구글의 정책과 위배되지만 Project XENO에서 사용되는 NFT 재화는 이름만 NFT인 오프체인 재화로 추정되어서 해당 정책을 우회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게임의 메인 타깃이 블록체인 게임 플레이어가 아닌 기존 게이머들이고, 기존 게이머들에게 익숙한 수익 모델이므로 게임의 주 수입원으로 추정된다.

    웹사이트 상점

    Desktop View Market Money를 사용하는 웹사이트 1차 판매 / 2차 판매 상점

  • 인앱 상점과는 별개로 웹사이트 상점이 존재하며, 거래 재화로 스테이블코인과 가치가 연동된 Market Money를 사용한다. Market Money는 USDT 또는 신용카드로 구매 가능하며, 웹사이트 상점 내 NFT 1/2차 판매품의 구매에 사용한다. 2차 거래 시 NFT의 판매자는 Market Money가 아닌 BNB Chain의 USDT를 판매 대금으로 받는다.
  • Market Money라는 DB 중간재를 추가한 이유는 USDT 블록체인 토큰으로 인게임 아이템을 직접 구매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리스크를 개처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웹사이트 상점의 NFT 2차 거래 수수료

    Desktop View 각 NFT 별로 기준 가격이 존재하고 해당 금액 아래로 NFT가 거래되면 높은 수수료를 부과한다

  • NFT의 2차 거래 시 NFT의 종류 별로 특정 가격 아래에서의 거래에 대해 20% ~ 30%의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 데이터가 없어 정확한 매출 규모는 확인할 수 없지만, GXE 토큰의 매도 압력을 NFT가 대신 받아 주는 구조에서, 게임의 Earn에 대한 매력이 감소한다면 NFT의 가격은 하락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 과정에서 개발사가 수수료를 취할 수 있게 된다.
  • 정확한 목적은 알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매출이 목적이었다면 모든 거래에 저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이, 특정 가격 이하의 거래를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아예 거래를 막아버리는 것이 더 나은 선택지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거래를 막아버린다면 그에 따른 NFT 가치 부양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5. Conclusion

    Desktop View BNB Chain의 UXE 토큰 가격 log 차트. 토큰 수익이 목적인 Web3 유저들의 대규모 유입 후 구조상 문제로 인해 토큰 가격이 매우 빠르게 하락했다.

  • Project XENO는 대기업이 새롭게 출시한 Web2 기반 Web3 게임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게임의 수익성이 아닌 게임의 재미를 핵심 가치로 보고 Project XENO를 계속 플레이하는 유저층이 존재했다. 이는 Web2 게임이든 Web3 게임이든 우선 게임이 재미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도 있었다. 23년 8월 Project XENO는 동남아 쪽의 Web3 게이머들을 모객하기 위해 필리핀에서 유명한 매니 파퀴아오와 콜라보를 진행, 래플 이벤트를 열었다. 해당 이벤트 이후 매우 많은 Web3 유저가 유입되었고,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보였다.
  • 하지만 유저 유입 이후 UXE 토큰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면서 게임 경제가 무너졌다. 그 이후로 Web3 유저들의 트래픽은 크게 줄고 붕괴된 블록체인 게임 경제 속에서 Web2 유저들만 게임을 계속 플레이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처럼 새로운 유저들이 들어와 기존 유저들과 시너지를 보여주지 못하고 게임의 수명 감소만 유발했다는 점에서 아쉽다. 어쩌면 Web2 유저의 목적(재미있는 게임)과 Web3 유저의 목적(수익)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둘은 섞일 수 없는 존재라는 뜻일 수도 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